본문 바로가기
부동산정보&이슈

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가입 전환 자격 필요서류 안내

by 부게인 2024. 4. 14.
반응형

 

부동산과 청약 열기가 잠잠해진 상황이지만, 청년이라면 꼭 가입하는 것이 유리한 청약통장이 있습니다. 바로 오늘 소개드릴 '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'인데요, 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이 무엇인지, 가입 및 전환 자격과 필요서류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 

 

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가입 전환

 

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이란? 

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가입 전환

 

가점을 우선으로 하는 청약제도에서 2030 청년들은 가점이 낮을 수밖에 없습니다. 그만큼 청약에 당첨되기란 굉장히 요원한 상황인데요, 정부가 청년들의 내 집 마련을 지원하는 방안으로 나온 것이 바로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입니다.

기존 주택청약의 청약기능과 소득공제 혜택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재산을 형성하는 기능을 더 강화한 청약통장입니다.

 

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가입 대상 

나이:

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가입 전환

 

소득:

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가입 전환

 

주택소유 여부: 무주택자만 가능 

 

그러면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은 기존 청약통장과 비해 어떤 혜택이 있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. 

 

 

 

주택청약종합저축 vs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이자율 비교 

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가입 전환

 

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의 가장 큰 장점은 바로 우대 이자율입니다.

위 표에서 보듯이 저축기간이 2년 미만이거나 10년 초과인 경우는 일반 주택청약저축과 이자율이 같습니다. 

하지만 저축기간이 2년~10년 이내인 경우, 납입원금 5,000만원 한도 내에서 우대금리가(1.7%) 추가 적용되며, 이로 인해 연 4.5%의 높은 이율을 받을 수 있습니다. 

 

그렇다면 만약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을 가진 사람이 청약 당첨으로 인해 중간에 주택을 소유하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요? 이 경우 청약통장을 유지할 수 있지만, 금리 우대 혜택은 종료됩니다.

 

 

 

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의 추가 혜택

1. 중도 인출 기능: 기존 청약통장은 중도 인출이 불가하지만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의 경우는 청약 당첨 후 계약금 납부 목적으로 인출을 할 수 있습니다

2. 비과세 혜택: 무주택 세대의 세대주인 경우 근로소득 연 3,600만원 또는 종합소득 연 2,600만원 이하인 경우 이자소득 500만원까지 세율 15.4% 이자소득 비과세를 받을 수 있습니다. 

3. 소득공제: 주택청약저축통장과 동일하게 연 납입액의 40%(연 300만원 한도)까지 소득공제 가능합니다. 

 

 

청년우대형 주택청약 전환 

  • 기존 '청년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'에 가입되어 있던 가입자들은 자동으로 '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'으로 전환됩니다. 
  • 기존 '주택청약종합저축' 가입자 또한 대상 요건을 충족한다면 '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'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. 이때 기존 청약통장에 보유하던 원금은 기존 청약통장의 이율을 적용하고, 전환 이후 납입한 금액에 대해서만 우대이율이 적용됩니다. 

 

가입 필요 서류 

  • 소득증빙: 

      - 소득확인증명서(청년우대형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용) 

 

 

      - 원천징수영수증

      - (복무중인 병) 병적증명서 또는 군복무 확인서 

  • 병적증명서 (해당자)
  • 각서 (양식 제공) 

 

 

 

(다운로드)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가이드라인 _ 2024년 4월 8일 버전 

 

240408_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가이드라인.hwp
0.05MB

↑ 클릭하여 다운로드 

 

 

 

<참고>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취급 은행 

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가입 전환

 

 

지금까지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기존 청약통장 기능을 갖고 있으면서도 가입기간 2년에서 10년까지는 금리를 최고 4.5% 제공한다는 점이 가장 큰 메리트인 상품인데요, 별도로 적금이나 예금 상품을 찾는다 해도 이 정도 금리는 현재 찾기 쉽지 않은 만큼 나이와 소득 조건에 부합하시는 분이라면 꼭 이용해 보시길 바랍니다. 

반응형